장애인정의/등록현황
장애인의 정의
- 장애인이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들을 이릅니다.
- 신체적 장애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를 말하고, 정신적 장애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합니다.
장애유형
장애유형은 2000년에 5종에서 10종으로, 2003년에 10종에서 15종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최초시행('88년) : 5종(지체, 시각, 청각, 언어, 지적)
- 2000년 확대 : 5종(뇌병변, 자폐, 정신, 신장, 심장)
- 2003년 확대 : 5종(호흡기, 간, 안면, 장루·요루, 뇌전증)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
신체적 장 애 |
신체외부 장애 |
지체장애 | 절단장애, 관정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
뇌병변장애 |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 ||
시각장애 | 시력장애, 시아결손장애 | ||
청각장애 |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 ||
언어장애 |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 ||
안면장애 |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 ||
신체내부 장애 |
신장장애 |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 |
심장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이상 | ||
간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 ||
호흡기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능이상 | ||
장루·요루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 · 요루 | ||
뇌전증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뇌전증 | ||
정신적 장 애 |
발달장애 | 지적장애 |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
자폐성장애 |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 ||
정신장애 | 정신장애 |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
장애인 등록현황 (2021. 12월말 기준)
서울시 등록장애인 수 : 392,123명(서울시 전체인구*의 4.1%)
- * ’21. 12월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9,509,458명)
연도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장애인수 | 407,528 | 403,435 | 398,908 | 393,245 | 391,027 | 391,753 | 392,920 | 394,843 | 394,190 | 392,123 |
장애 유형 및 원인
- ○ 장애유형은 2000년 5종 ⇨ 10종, 2003년 10종 ⇨ 15종 확대
- - 최초시행('88년) : 5종(지체,시각,청각,언어,지적)
- - 2000년 확대 : 5종(뇌병변,자폐,정신,신장,심장)
- - 2003년 확대 : 5종(호흡기, 간, 안면, 장루․요루, 뇌전증)
- ○ 지체(42.8%),청각(15.2%),시각(10.5%),뇌병변(10.3%) 순으로 많음
- ○ 장애 원인은 88.1%가 질병, 사고 등 후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특히 후천적 원인 중 질환(56.0%)이 사고(32.1%)보다 더 높게 나타남
계 | 지체 | 뇌병변 | 시각 | 청각 | 언어 | 지적 | 자폐성 |
---|---|---|---|---|---|---|---|
392,123 | 167,986 | 40,299 | 41,220 | 59,714 | 3,416 | 27,330 | 6,855 |
100% | 42.8% | 10.3% | 10.5% | 15.2% | 0.9% | 6.9% | 1.7% |
정신 | 신장 | 심장 | 호흡기 | 간 | 안면 | 장루.요루 | 뇌전증 |
---|---|---|---|---|---|---|---|
16,600 | 18,301 | 1,008 | 2,143 | 2,663 | 381 | 2,959 | 1,248 |
4.2% | 4.7% | 0.3% | 0.5% | 0.7% | 0.1% | 0.8% | 0.3% |
장애인 연령
- ○ 60대 이상의 장애인수(250,812명)는 전체 장애인의 63.9% 차지 하며, 60대 장애인수가 가장 많음
- ○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 지속적인 증가 추세
성별/연령 | 합계 | 0~9 | 10~19 | 20~29 | 30~39 | 40~49 | 50~59 | 60~69 | 70~79 | 80이상 |
---|---|---|---|---|---|---|---|---|---|---|
계 | 392,123 | 4,709 | 8,722 | 15,850 | 18,848 | 32,943 | 60,239 | 92,618 | 91,465 | 66,729 |
남 | 227,302 | 3,145 | 5,743 | 10,169 | 12,460 | 22,426 | 40,752 | 57,731 | 48,261 | 26,615 |
여 | 164,821 | 1,564 | 2,979 | 5,681 | 6,388 | 10,517 | 19,487 | 34,887 | 43,204 | 40,114 |
- 정보제공부서 :장애인자립지원과
- 연락처 :2133-7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