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울복지포털

주메뉴

장애인 등록절차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에「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와 관계서류(장애진단서, 검사결과서, 진료기록지)를 제출하시면 국민연금관리공단의 장애심사를 거쳐 장애로 판정된 경우 장애인으로 등록됩니다.

등록 신청

  • 관할 동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 장애인등록 신청은 본인이 하는 것이 원칙이나 18세 미만의 아동과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 등 본인이 등록 신청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보호자가 신청을 대행할 수 있습니다.
      ※ 대리신청 가능한 보호자의 범위 : 배우자, 직계존·비속, 직계존·비속의 배우자, 형제·자매, 형제·자매의 배우자, 장애인을 보호 장애인 복지시설의 장계존·비속의 배우자, 형제·자매, 형제·자매의 배우자, 장애인을 보호 장애인 복지시설의 장

    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     외국인장애등록안내

장애진단 후 관계서류 제출

  • 신청인은 의료기관 전문의사에게 장애진단 및 검사를 받은 후, 관계서류(장애진단서, 검사결과서, 진료기록지)를 발급받아,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에 제출합니다.

    장애유형별 장애진단기관 현황     구비서류안내

    ※ 신청서 제출전 의료기관을 먼저 방문하여 장애진단서 등 관계서류를 발급받은 후 ①장애등록 신청시 제출하셔도 되며 이 경우 ②,③ 절차는 이행한 것으로 봅니다.

장애심사 및 정도 결정 후 장애인등록증 발급

  • 신청자의 제출서류는 전문기관인 국민연금공단 장애심사센터에 보내지고, 국민연금공단에서 장애심사 및 정도를 심사합니다.
  • 장애심사 및 정도가 판정된 경우, 동주민센터에서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를 발급합니다.
    ※ 2011.4.1부터 신규 장애등록 신청자와 재판정에 해당하는 장애인은 장애정도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 처리기간 : 최초 동주민센터 장애등록 신청부터 정도심사를 거쳐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 수령까지 약 한달 정도 소요됩니다.

    장애정도 판정기준

장애인 등록 절차

  • 장애인등록 상담 및
    구비서류 안내
    (동주민센터)
  • 장애진단서 및
    구비서류 발급(의료기관)
  • 장애정도심사 구비서류
    확인 접수(동주민센터)
  • 국민연금공단으로
    장애정도심사 요청
    (동주민센터)
  • 장애심사, 정도결정
    (국민연금공단)
  • 심사결과 통보
    (국민연금공단)
  • 민원상담 및 사후관리
    (동주민센터)
  • 신청인에게 심사결과 통지
    (동주민센터)
  • 심사결과 확인 및
    장애인등록(동주민센터)
  • 1단계 장애인등록 상담 및 구비서류 안내(동주민센터)
  • 2단계 장애진단서 및 구비서류 발급(의료기관)
  • 3단계 장애정도심사 구비서류 확인 접수(동주민센터)
  • 4단계 국민연금공단으로 장애정도심사요청(동주민센터)
  • 5단계 장애심사, 정도결정(국민연금공단)
  • 6단계 심사결과 통보(국민연금공단)
  • 7단계 심사결과 확인 및 장애인등록(동주민센터)
  • 8단계 신청인에게 심사결과 통지(동주민센터)
  • 9단계 민원상담 및 사후관리(동주민센터)
    ※ 장애인등록과 관련된 사항은 주소지 동주민센터 장애인복지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라며, 장애정도심사 결과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 90일 이내에 이의신청, 행정심판 또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장애정도 조정

  • 장애상태가 현저히 변화하여 장애정도 조정을 원하실 경우 「장애정도조정 신청서」를 작성하여 동 주민센터에 제출하시면 되고, 장애정도 조정절차는 장애인 등록 신청절차와 같습니다.

담당자

  • 정보제공부서 :장애인자립지원과
  • 연락처 :2133-7439

서울특별시청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찾아오시는길)
문의처 : 02-120
Copyrigh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