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울복지포털

주메뉴

수어일러두기

표제어

  • 표제어 선정기준
  • ※ 한글을 사용하여 표기한 표제어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많은 수어 책에서 동일하게 표시하고 있는 수어 단어를 우선 선정한다.
    • 단어의 의미나 어원을 쉽게 연상할 수 있거나 유추할 수 있는 수어 단어를 선정한다.
    • 표시 방법이 단순하고 손동작이 편한 수어 단어를 선정한다.
    • 반형어의 수어는 상반되게 표시된 것을 선정한다.
    • 국명 중에서는 인지도가 비교적 높은 113개 국면의 수어로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것을 선정한다.
    •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해온 외국 국명의 수어도 병용하기로 하고 이들도 선정한다.
    • 지역명 중에서는 특별시, 광역시, 도, 도청소재지, 고도(개성, 경주, 공주, 부여, 의정부), 큰 섬(강화도, 거제도, 독도, 울릉도), 기존의 이북 5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항겸남도, 함경북도, 황해도), 이북의 주요 도시(신의주, 원산, 평양), 널리 알려진 외국의 도시를 선정한다.
    • 우리나라 지역명 중에서는 시·도 농아인 협회 및 지회에서 사용하는 것을 선정한다.
    • 정부 부처명 중에서는 장관급 이상이 임명되는 부처명의 수어를 선정한다.
    • 군경 용어 중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선정한다.
    • 종교 용어 중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각 종교 단체에서 사용하는 것을 선정한다.
    • 스포츠 용어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선정한다.
    • 현재 사용되지 않는 단어(예, 책보)의 수어는 제외한다.
    •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 중 부정적인 용어는 제외한다.
    • 조사와 어미의 수어 중에서는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소수만을 선정한다.
    • 준말이 원말보다 익숙한 경우에는 준말을 선정한다.
    • 사용 빈도가 낮은 동의어도 선정한다.
    • 용어가 바뀌었을 경우에는 바뀐 용어를 표제어로 선정한다(예, 학적부→생활기록부).
    • '주' 대신 '주님'을, '예수' 대신 '예수님'을, '선생' 대신 '선생님'을, '부처' 대신 '부처님'을 표제어로 올린다.
    • 지문자와 지숫자는 별표로 넣으며, 동시에 표제어로 올린다.
    • 지숫자 중에서는 영(0)~십구(19), 이십(20)~백(100), 천(1000), 만, 십만. 백만, 천만, 억, 조를 별표로 넣으며, 동시에 표제어로 올린다.
  • 제시방법
    • 표제어의 표기에는 한글을 사용하였다. 관용적으로 로마자나 숫자로 표기하는 것도 한글로 표기하였다.
    • 한글의 표기가 동일한 표제어는 '3. 배열 순서'에서 제시한 원칙에 따라 어깨번호로 구분하였다.
    • 단어가 두가지 이상의 다른 의리를 가지는 다른 수어로 표시되는 경우 각각을 표제어로 올렸다.
  • 배열 순서
    • 표제어는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였으며, 자모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① 초성 : ㄱ 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ㅌㅍㅎ
      • ② 중성 : 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ㅞㅟㅠㅡㅢㅣ
      • ③ 종성 :ㄱㄲㄴㅆㅋㄷㄹㄺㄻㄼㅀㅁㅂㅄㅅㅆㅇㅈㅉㅊㅌㅍㅎ
    • 같은 자모의 포제어는 우리말·한자어·외래어의 순으로 배열하고, 한자어는 자획수의 적고 많은 차례로 각각 배열하며, 음과 글자가 같고 뜻이 다른 것은 어깨번호를 붙여 그 순으로 배열하였다.

원어정보

  • ※ 한자어와 외래어는 포제어 다음에 그 원어를 밝혔다. 만일 고유어와 결합한 표제어이면 고유어를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 제시방법
    • 원어의 표기를 위하여 사용한 문자는 한자·일어문자·로마자로 국한하였다. 그 밖의 문자는 로마자화하여 표기하였다.
    • 로마자는 소문자로 표기하였다. 다만, 고유 명사나 독일어 명사와 같이 대문자로 쓰는 경우는 대문자 그대로 표기하였다.
    • 로마자의 이니셜로 이루어진 단어는 이니셜 표기를 제시하되, 대문자를 마침표 없이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원어의 띄어쓰기
    • 한자어의 경우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한자어와 외래어의 결합인 경우도 둘 사이를 띄지 않았다.
    • 외래어의 경우 원래의 언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썼다.
  • 언어 명 제시
    • 원어의 언어 명을 약호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 영어에서 온 외래어는 언어 명을 따로 밝히지 않았다.

한글 자모의 이름

  • 한글 자모가 표제어인 경우 그 이름을 적어 주었다.
    <예> [기역]

어법의 표시

    • 표시한 어법은 한국어의 어법이며 한국수어의 어법이 아니다. 그러나 수어에 의한 한국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국어의 어법을 표시하였다.
    • 표제어의 어법은 '수어사전에 쓰인 기호 및 약호'에서 제시한 '어법'에 따라 표시하였다.

뜻풀이

    • 한글을 사용하여 표기한 표제어의 뜻풀이는 한국어의 뜻풀이가 아니라 그림과 그림의 설명문으로 제시한 한국수어의 뜻풀이다.
      그러나 표제어의 뜻풀이는 한국어의 뜻풀이와 일치하거나 뜻풀이의 일부와 일치한다.
    • 용례를 여러 개 제시할 경우 용례와 용례 사이를 '.'로 구분하였다.

용례

    • 용례는 뜻풀이 다음에 제시하였다. 다만, 용례는 한국어의 문형에 알맞게 번역하여 제시하였다.
    • 표제어의 어법은 '수어사전에 쓰인 기호 및 약호'에서 제시한 '어법'에 따라 표시하였다.

어원정보

    • 표제어의 어원, 구조 분석과 어원적 의미는〔〕안에 제시하였다.
    • 구성 성분이 연이어 결합한 복합어는 '+'기호를 사용하여 결합을 표시하였다.<예> 고향 : 〔낳다+곳〕
    • 구성 성분이 하나로 합성된 복합어는 '/' 기호를 사용하여 합성을 표시하였다.<예> 납부: 〔돈/주다〕

동형어와 반형어

    • 표현과 같은 수어를 동형어라 하였다. 동형어에는 동의어도 있고 동의어가 아닌 것도 있다. 동형어는 '=' 기호를 앞세워 모두 보여주었다.
    • 표현이 반대가 되는 수어를 반형어라 하였다. 반형어에는 반의어도 있고 반의어가 아닌 것도 있다. 반대가 되는 정도가 유사한 경우에도 반형어로 처리하였다. 반형어는 '↔' 기호를 앞세워 모두 보여주었다.

관용구

    • 표제어로 표현이 가능한 관용구로서 수어에서 사용되는 관용구만을 수록하였다.
    • 관용구는 시작 단어를 포제어로 삼아 해당 표제어 밑에서 한번만 제시하였다.
    • 관용구는 뜻풀이하였다.
      <예> 공부+힘 관용 수재. 공부를 잘 한다.

수어·지문자·지숫자의 그림과 설명

    • 수어·지문자·지숫자의 표현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표제어를 그림으로 나타내고 그림을 한국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 하나의 포제어를 두 가지 수어로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수어의 그림과 그림의 설명을 각각 ①,②와 같이 나누었다.
    • 수어·지문자·지숫자의 설명에 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손가락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의 번호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손가락의 번호는 '수어·지문자·지숫자의 설명에 사용한 손가락의 번호'에 제시하였다.

수어사전에 쓰인 기호 및 약호

  • 어법
어법

명사

의명 의존대명사

인대 인칭대명사

지대 지시대명사

수사

자동사

타동사

보동 보조 동사

형용사

보형 보조 형용사

관형사

부사

보조 형용사

조사

어미 어미

--하자

--하자

자타 --하자

자형 --하자

타형 --하자

--하자

자타형 --하자

--히

형 --스럽다

관용 관용구

접미사

원말

준말

접두사

  • 언어 명
언어 명

라 - 라틴어

프 - 프랑스어

이 - 이탈리아어

히 - 히브리어

일 - 일본어

  • 기호
기호

( ) 포제어의 원어 표시

¶ 용례 시작 표시

[ ] 한글 자모의 이름표시

= 동형어 앞에

- 원래의 언어에서는 쓰는 붙임표

↔ 반형어 앞에

- 접두사나 접미사나 어미의 표시

〔 〕 어원표시

+ 결합의 표시

- 표제어 부분의 되풀이 표시

/ 합성의 표시

← 원말 앞에

①② --- 뜻풀이가 달라진 경우

수어·지문자·지숫자의 설명에 사용한 손가락의 번호

  • ※ 수어·지문자·지숫자의 설명에 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손가락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의 번호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손가락의 번호는 다음과 같다.
  • 손가락번호
  • 엄지손가락 : 5지
  • 집게손가락 : 1지
  • 가운데손가락 : 2지
  • 약손가락 : 3지
  • 새끼손가락 : 4지

서울특별시에서는 "언어장애인의 이해와 수어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한국수어사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제공합니다.

  • 출처 :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한국농아인협회
  • 발행 : 2005년 12월 31일
  • 어휘량 : 7000단어

담당자

  • 정보제공부서 :장애인자립지원과
  • 연락처 :2133-7966

서울특별시청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찾아오시는길)
문의처 : 02-120
Copyrigh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