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서비스
지역별·가구별로 다양한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적인 서비스를 발굴· 집행함으로써 지역주민이 체감하고 만족하는 사회서비스 제공
대상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원칙 (일부사업 예외적용)
※ 2022년 기준중위소득
가구원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120% | 2,333,774 | 3,912,102 | 5,033,641 | 6,145,296 | 7,229,418 | 8,288,405 |
140% | 3,267,284 | 5,476,943 | 7,047,097 | 8,603,414 | 10,121,185 | 11,603,767 |
150% | 4,900,926 | 8,215,415 | 10,570,646 | 12,905,121 | 15,181,778 | 17,405,651 |
내용 : 지역사회 주도로 지역별·계층별 특성에 맞는 서비스 개발·제공
방법 : 바우처 전용카드를 서비스 대상자 명의로 발급·사용 월 3~64만원(사업,등급별 차등)
※ 본인부담 10~30% (월6천원~21만원, 소득기준에 따라 차등)
- 정보제공부서 :복지정책과
- 연락처 :02-2133-7346
지역별 청년사회서비스 사업단 운영을 통해 청년 맞춤형 사회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함으로써 청년층의 건강을 개선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함
대상 : 신청일 현재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둔 만 19세 ~ 39세 청년
※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본인부담금 미부과
내용 : 지역 청년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청년층 수요와 특성에 적합한 신체건강·정신건강 개선 사회서비스 개발 및 제공
- 주요 제공서비스 내용
분야 | 내용 |
---|---|
신체건강 개선 서비스 | - 실시간 홈 트레이닝 프로그램 제공 - 영양 및 운동 관련 상담 프로그램 제공 |
정신건강 개선 서비스 | - 1:1 맞춤형 심리 상담 프로그램 제공 |
※ 코로나19 확산 방지차 모든 서비스는 비대면으로 제공됩니다.
- 정보제공부서 :복지정책과
- 연락처 :02-2133-7346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저소득층에 가사간병 방문서비스를 지원하여 취약계층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내용
- 개요 : 간병이 필요한 저소득 취약계층에 가사간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바우처)을 수급자격 결정일로부터 1년간 지원
- 인력 : 만 18세 이상으로 「노인복지법」에 따른 요양보호사 자격 취득자
- 지원서비스 : 신체수발 지원, 가사지원, 일상생활 지원, 간병지원 등
- 서비스시간 : 월 24시간 또는 월 27시간(이용자 선택 가능)
이용방법 : 바우처 전용카드를 이용자 명의로 발급·사용
지 원 액 : 월 37.4~66.4만원(제공 시간, 소득수준별 차등)
※ 본인부담금 : 면제~월2.6만원, 시간당서비스가격: 16,600원
’23년도 서비스가격·정부지원금
제공시간 | 소득수준 | 서비스 가격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
월 24시간 (A형)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가형) | 월 398,400원 | 월 398,400원 | 면제 |
기준중위소득 70% 이하 계층(나형) |
월 374,500원 | 월 23,900원 | ||
월 27시간 (B형)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가형) | 월 448,200원 | 월 434,750원 | 월 13,450원 |
기준중위소득 70% 이하 계층(나형) |
월 421,300원 | 월 26,900원 | ||
월 40시간 (C형) |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 월 664,000원 | 월 664,000원 | 면제 |
- 정보제공부서 :복지정책과
- 연락처 :02-2133-7749
추진배경
- 저출생, 고령화로 돌봄의 한계 및 공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돌봄 기능을 사회와 국가가 책임지는 ‘돌봄의 사회화’ 요구 증대
- 민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가 성장하면서 종사자의 낮은 처우, 서비스 질 저하, 시설 사유화에 따른 회계 불투명 등 한계 발생
추진방향
- (인프라) 사회서비스 제공시설 단계별 확대로 공공인프라 확충
- 국공립 사회복지시설 및 종합재가센터 직접 운영을 통한 공공서비스 공급 확대
- (일자리) 사회서비스 종사자 직접 고용 등으로 일자리 창출 및 노동조건 개선
- 공공일자리 창출, 적정 임금체계 설계 및 처우개선으로 종사자 신분안정 도모
- (돌봄체계) 사회서비스 품질 개선으로 좋은 돌봄체계 구축
- 이용자·종사자 교육, 만족도 조사, 모니터링 등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제도기반) 민관 상생 제도적 기반 구축
- 컨설팅(법률, 회계, 노무) 지원, 운영모델 전파, 공공자원 개방 등으로 민간기관 지원
추진개요
- 설립형태 : 재단법인
- 설립시기 : 2019년 2월 28일
- 사업영역 : 시급성 및 체감도가 높은 장기요양, 장애인활동지원 중심으로 선도적 추진
- 사업규모 : 초기규모는 영역별로 최소화, 시범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단계적 확대 추진
주요사업
- 국공립 사회복지시설 직접 운영
- (대상사업) 시립시설 직영 또는 구립시설을 위탁받아 운영하면서 서비스 제공
- (기대효과) 종사자 직접 고용 통한 안정적 일자리 창출, 전문성 강화 교육, 수시 모니터링 등을 통한 서비스 품질 제고 및 민간견인 효과
- 종합재가센터 설치·운영
- (대상사업) 장기요양(방문요양,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장애인활동지원, 긴급돌봄 등을 중심으로 통합서비스 제공
※ ‘23년도 센터 현황
‘23년도 센터 현황 자치구 제공서비스 소재지 개소일 성동 방문요양, 방문목욕, 장애인활동지원, 방문간호, 긴급돌봄서비스 성동구 아차산로33 '19.07.23 은평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은평구 진흥로 77 '19.08.28 강서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강서구 공항대로 325 '19.09.18 노원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장애인활동지원, 발달장애 청소년 방과후 활동 노원구 한글비석로 432 '19.10.23 마포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마포구 마포대로 11길 '20.01.17 영등포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영등포구 선유로 130 ’20.09.28 송파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송파구 위례성대로 18 ’20.09.28 양천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양천구 목동로 177 ’20.09.28 도봉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도봉구 도봉로136길7 '20.11.18 중랑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중랑구 중랑역로 62 '20.11.30 강동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강동구 양재대로 1410 '20.12.14 서대문 방문요양, 방문목욕, 긴급돌봄서비스 서대문구 연희로 142 '20.12.14 - (기대효과) 다양한 방문형 돌봄사업의 종합적 제공으로 서비스 이용자 편의성 제고
- (대상사업) 장기요양(방문요양,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장애인활동지원, 긴급돌봄 등을 중심으로 통합서비스 제공
- 민간 서비스기관 지원
- (지원방법) 민간시설에 대체인력 지원, 전문가(법률, 회계, 노무) 상담 지원 및 민간기관 종사자 교육 지원
- (기대효과) 민관 상생 협력 체계 구현을 통해 사회서비스원에 대한 민간의 긍정적 기대효과 창출
- 서비스 품질관리
- (지원방법) 서비스 표준운영모델 전파, 품질관리 체계 구축 및 교육체계 개발을 통한 전문성 강화
- (기대효과) 표준운영모델 및 교육체계 민간 전파로 사회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 견인 효과
- 정보제공부서 :복지정책과
- 연락처 :2133-7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