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해서 더 강해지는 통합적 운영체계
- 공공기관의 횡적 연계망 (시·구, 외부기관)을 구축하여 주민의 복지 수요에 대한 지원 및 대응 체계 강화
기관별 연계 내용(안)
찾동
- 시·구의 공공 기관·부서관 협업
- 서울시 금융상담센터·공익법센터
- 동→센터:전문상담 의뢰
센터→동:복지돌봄 의뢰 - 센터별 자치구 지정, 구의 희망복지팀에 업무 지정, 매뉴얼 등의 공식화
- 동→센터:전문상담 의뢰
- 소방서·시립병원
- 긴급구조 등 소방 출동시 확인된 주민 문제, 병원 퇴원 주민의 지역 돌봄 연계
- 시단위에서 협업·연계 가능한 정보 목록 등 일괄 조정 후 일선 현장으로 전파
- 서울시 금융상담센터·공익법센터
- 외부 기관과 협업
- 서울시 경찰청
- 위기가정통합지원센터 ’19년 15개구에서 ’21년까지 전 구 확대
- 서울시 교육청
- 중앙정부의 온종일 돌봄 사업과 연계
- 서울시 혁신교육지구 하업과 찾동의 공동체 사업 및 주민 교육과 연계
- 지역 사회복지관
- 구체적인 사업과정에서 찾동과 복지관의 실제적인 협력모델 및 프로세스 개발
- 서울시 경찰청
- 정보제공부서 :자치행정과
- 연락처 :2133-5850
-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동단위 관련사업의 융합적 연계를 통해 주민 및 사업 간 협업을 확대하고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제고
사업대상
- 복지 관련 주민참여 사업, 찾동 개별 사업
- 주민참여를 통해 진행되거나 주민참여를 필요로 하는 복지관련 사업
- 복지·마을·건강·여성·자치 등 찾동 관련 개별 사업
사업내용
- 사업간 ‘협업과 융합’
- 복지관련 주민참여 사업간 협업 확대 및 협조 체계 구축으로 사업 효과제고
- 복지·마을·건강·여성·자치의 개별사업을 넘어서는 융합적 관계 촉진
복지1팀장
- 분야간 협조체계 구축
중복사업양도·협조결재 - 주민공유회 개최
연 1회 이장
융합적 관계를 위한 협조요청 및 공유모임
- 행정
우리동네 주무관 골목회의 - 마을
주민참여사업 이웃만들기 - 여성
보육반장 여성안심행복마을 - 건강
주민건강리더, 신체활동리더, 건강소모임 - 복지
나눔이웃, 나눔가게 지사협
-공공의 주민돌봄 서비스 + 주민 자원봉사
-공공의 사각지대 발굴 사업 + 주민신고 체계
-발문간호사업 + 주민자조 모임 등
-저소득층 주민 도시락 배달, 주민자치회 위탁
-찾아가는 생일상 + 마을공동체 활력소
-동네부엌 + 건강영양죽 배달 등
- 정보제공부서 :자치행정과
- 연락처 :2133-5850
- 제반 부서의 정책이 동으로 시달되면서 발생되는 정책 깔때기 현상 해소
- 찾동 인력을 기반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신규사업의 동단위 정책조정 경로 마련
동주민센터 사업영향 검토, 업무역할 조정 및 중복 사업연계
- 동주민센터의 사업 참여 및 협력 필요성, 의견수렴 및 반영 정도
- 동주민센터의 역할 및 업무량, 필요인원, 업무량 증가에 대한 지원방안
- 기존 유사중복 사업 여부 파악, 추진현황 및 기존 사업과의 연계 방안
추진절차
<사업부서 요청>
- 사업계획 (자체점검표 제출)
사업부서 - (검토요청)
- 사업영향 검토
시·구 총괄부서 - (필요시)
- 시·구·동 의견수렴 및 조정협의회 개최
시·구 총괄부서 조정협의회 - (결과회신)
- 사업계획 확정 및 시행
사업부서 동주민센터
<동주민센터 요청>
- 조정희망사업(검토요청서 제출)
동주민센터 - (검토요청)
- 부서 자체점검 및 사업영향 검토
사업부서, 시·구 총괄부서 - (필요시)
- 시·구·동 의견수렴 및 조정협의회 개최
시·구 총괄부서 조정협의회 - (결과회신)
- 사업계획 확정 및 시행
사업부서 동주민센터
- 정보제공부서 :자치행정과
- 연락처 :2133-5850
- 지역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주민 복지활동의 통합적 연계 체계 구축
- 분절에 의한 중복 현상을 극복하고 동단위 주민력과 지역복지력 강화
동 단위 복지컨트롤타워로서 지사협 역할 정립
- 동 지사협의 역할 정립
- ① 동 단위 복지공동체 컨트롤타워 : 유기적인 연계·협력체계 구축
- ② 기존 주민·단체 등과 네트워킹 : 지역 내 기존 활동인력의 확인 및 소통 체계
- ③ 기존 주민·단체 등 활동 지원 : 주도적 활동을 위한 지원, 동 행정과 연계 등
- ④ 지역 내 복지욕구 및 자원 발굴 : 주민관계를 통한 발굴, 구 단위 공유 등
- ⑤ 지역 복지계획 수립 : 발굴된 욕구 및 자원과 지역내 네트워킹에 기반
-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컨트롤타워 주요 역할
- ▶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이웃살피미 참여주민 모집·관리·교육, 위기가구 발굴·홍보 등 협력
- ▶ 복지공동체사업 주체와 洞 자체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조사활동 기획 및실행 전 과정에서 공동 협력 추진
동단위 복지공동체 연계‧융합을 통한 지역복지력 강화 체계
주민주도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 추진대상 : 연차별 해당 자치구 추진 지원, 1개 자치구별 2개동 인큐베이팅 지원
- - 주민과 공무원, 복지기관 3자 협치를 통해 동단위 지역복지력 강화
- - ‘동복지대학’운영을 통한 동단위 주민력 강화
- 정보제공부서 :지역돌봄복지과
- 연락처 :2133-7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