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울복지포털

메뉴
찾아가는 현장중심의 위기가구 발굴체계를 구축하여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를 적극적으로 발굴․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자 함

사업개요

  • 민·관 협력을 통한 복지사각지대 상시 발굴체계 구축
    • 위기가구 발굴

      (빅데이터, 찾동 등 활용)

    • 위기가구 주기별ㆍ수시 방문

      (공무원. 복지플래너 등)

    • 지원 및 사후관리

      (돌돔SOS, 통합사례관리 등)

    • 단전·단수, 건보료 체납정보 등 18개 기관 44종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기가구 선제적 발굴
    • 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이웃살피미, 우리동네돌봄단 등 활용 민·관 합동 발굴
    • 전체 복지수혜자 대상 위기도(1~4단계)에 따른 연간모니터링 실시
    • 숨은 위기가구 대상 기획발굴 조사 실시
    • 모텔, 고시원 거주 등 추거 취약계층 전수조사(연2회, 동·하절기)
    • 무료급식소, 보호관찰소 등 취약계층 밀집지역을‘찾아가는 복지현장상담소’ 운영
    • 전입신고서, 일간지, 전광판, 현수막, 소식지, 시·구 홈페이지, SNS 등 온·오프라인 홍보
  • 발굴된 위기가구에 대한 맞춤형 지원강화(신속한 긴급복지, 공적‧민간자원연계)
    발굴 단계에는 공공 발굴과 민관 협력 발굴이 있으며 공공 발굴은 온라인 복지도움요청 시스템과 동행센터 방문서비스,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으로 발굴 되며 민관 협력 발굴은 통반장 등 복지공통체, 검침원,우체부등 주민밀착조직, 자발적 이웃 으로 발굴 됩니다. 지원단계는 저소득·위기가구 등 제도별 선정기준이 완화되어 적용이 되며,지원제도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서울형기초보장,국가긴급복지,서울형긴급복지,민간기금제도가 있습니다.각 제도에 해당하는 소득기준(%이하)으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생계30,의료40,주거47,교육50)입니다. 서울형 기초보장제도(생계47,해산47,장제47)입니다. 국가 긴급복지제도(생계75,의료75,주거75,교육75)입니다. 서울형 긴급복지(생계100,의료100,주거100)입니다.민간기금(100)입니다.
                                            재산기준은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와 민간기금은 해당사항이 없고,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155백만원, 국가 긴급복지310백만원,서울형 긴급복지409백만원입니다. 금융기준은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와 민간기금은 해당사항이 없고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36백만원, 국가 긴급복지제도 6백만원, 서울형 긴급복지제도 10백만원입니다.
                                            관리단계는 공공 관리 단계와 민·관 협력 관리 단계가 있습니다. 공공 관리단계는 연간모니터링실시.통합사례관리,돌봄 및 안부확인을 합니다. 민·관 협력 관리단계는 통·반장 등 지역복지공동체입니다.
  • 맞춤형 홍보 확대(SNS, UCC공모전, 리플릿, 반상회 소식지, 마을버스TV, 요금고지서, 현수막 등)
  •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신고는 02-120, 동주민센터
    • 어려운 이웃(위기가구)이란?
      • 1) 단전·단수 건강보험, 각종 세금 등이 체납된 가구
      • 2) 주소득자의 사망, 실직, 질병, 장애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구
      • 3) 휴·폐업으로 위기에 처한 영세 자영업자
      • 4) 돈이 없거나 있어도 경제적 부담으로 식사를 거르거나 주거상태가 열악한 가구
      • 5) 냉·난방 시설이 없거나 있어도 경제적 부담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가구
      • 6)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구
      • 7) 세입자 중 월세가 체납되거나 보증금에서 월세를 차감하고 있는 가구
      • 8) 1인 가구 중 연고가 없는 자로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 빈곤가구
      • 9) 실직으로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는 가구 등
  • 카카오
  • KB국민은행
  • 통신사PASS
  • 삼성PASS
  • 네이버
  • 신한은행
  • 토스
  • 뱅크샐러드
  • 하나은행
  • NH모바일인증서
  • 카카오뱅크
  • 우리은행

간편인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본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 카카오
  • KB국민은행
  • 통신사PASS
  • 삼성PASS
  • 네이버
  • 신한은행
  • 토스
  • 뱅크샐러드
  • 하나은행
  • NH모바일인증서
  • 카카오뱅크
  • 우리은행

간편인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본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담당자
정보제공부서 : 고독대응과
연락처
02-2133-7171